아시다시피 로그에는 '기록'이라는 뜻이 있지요.
앱 실행 중 특정 시점을 기록으로 남기는 겁니다.
![]()
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하단의 Android 탭을 누르면 알 수 없는 영어들이 엄청난 속도로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,
이것이 바로 '로그'입니다.
![]()
실행된 모든 시스템 앱에서 너도나도 로그를 찍어대기 때문에 화력이 장난이 아닙니다.
(마치 아프*카TV의 채팅창을 보는 듯한;;)
(왜 핸드폰을 가만히 납둬도 배터리가 그렇게 많이 다는지 알겠군요 -_-;;)
그만큼 로그는 매우 중요한 존재라 할 수 있죠.
자, 그럼 로그를 찍는 방법을 알아볼까요?
로그는 Log 클래스의 static 메서드를 사용하여 남길 수 있습니다.
![]()
위처럼 v, i, d, w, e 총 5개의 static 메서드가 있는데요,
v는 Verbose(말이 많다) 즉,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
i는 Info(정보)
d는 Debug(디버그)
w는 Warning(경고)
e는 Error(오류)입니다.
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중요한 로그이며, 상황에 맞는 것을 골라 쓰시면 됩니다.
첫번째 인자에는 로그의 태그(제목),
두번째 인자에는 로그의 내용을 지정하면 됩니다.
![]()
위처럼 로그를 남기는 코드를 작성하면
![]()
해당 코드를 지날 때 로그캣(LogCat)에 메시지를 남기게 됩니다!
(로그캣은 로그를 보는 창을 말합니다.)
로그의 사용례를 알아볼까요?
![]()
이렇게 코드 중간 중간에 로그를 출력하는 코드를 배치하면 앱의 실행 흐름을 보는데 도움이 됩니다.
![]()
앱 실행 중 특정 조건문을 통과했나 안 했나 알아볼 때도 매우 유용하죠~
![]()
이렇게 Java만의 문자열 합치기 기능을 통해 변수에 들어있는 값을 보는 것도 가능합니다.
그런데 출력되는 로그가 너무 많아서 여러분의 앱에서 출력한 로그가 묻혀버릴 수도 있겠죠?
그래서 '필터'라는 것이 존재합니다!
![]()
![]()
위 사진대로 하면
![]()
이렇게 필터를 편집하는 화면이 나옵니다.
![]()
한번 로그의 내용에 '메시지'가 들어있는 것만 보이도록 필터링 해보겠습니다.
![]()
알록달록하네요. ㅎㅎ
![]()
사실 이런 간단한 필터링은 굳이 필터를 만들 필요 없이 오른쪽 상단의 검색창을 이용해주시면 됩니다~
로그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합니다.
단축키 'Ctrl + Alt + S'를 눌러 설정으로 진입하셔서
![]()
Editor - Colors & Fonts - Android Logcat으로 이동하시면 Verbose부터 Error까지, 매우 다양한 옵션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.
(매번 느끼는 것이지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정말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 같네요.)
'typescript > ionic + cordova + angula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앱 처음 디버깅시 생성해야할 파일 (0) | 2019.03.19 |
|---|---|
| ionic 앱 환경설정 (0) | 2019.03.19 |
| hexadecimal to decimal to binary (0) | 2019.03.06 |
| input mac address (0) | 2019.03.06 |
| html에서 서비스파일에 있는 변수 호출할때 (0) | 2019.03.05 |